본문 바로가기

요양급여

(2)
치과 진료비, 진찰료는 뭐가 다른 걸까요? 저번 포스팅에서 치과 건강보험에 관해서 다루었었습니다. 오늘은 요양급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얘기하려고 합니다. 보통 병원 진료비가 얼마 나오는지에 대해 그렇게 궁금해하지는 않으실 텐데요. 그래도 한 번쯤 읽고 넘어가셔도 좋을 것 같아 다루게 되었습니다. 특히 진료비와 진찰료는 개념이 좀 다릅니다. 진찰료는 진료비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진료비는 정확히는 총 진료비라고 하면 이해가 더 빠르실 것 같습니다. 총 진료비 = 진찰료 + 행위수가 +약제수가 + 재료수가 + 진료행위 가산율 총 다섯 가지 항목이 더해져서 진료비가 책정이 됩니다. 진찰료 = 기본진료료 = 기초수가 = 초진료 = 재진료 모두 같은 표현입니다. 여기서 진찰료는 기본진찰료와 외래관리료를 합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진찰료 = 기본진찰료 ..
치과 건강보험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국민건강보험제도가 뭔지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가 파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들이 매달 낸 보험료를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 운영하다가 국민들이 의료를 이용할 경우 보험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보장 제도를 말합니다. 여기서 보험자란 사고가 발생할 때 보험금 지급의무를 부담하는 자를 지칭하며 따라서 피보험자는 국민들이 됩니다 1. 강제적용 가입을 기피할 경우 국민 상호 간의 위험부담을 통하여 의료비를 공동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건강보험제도의 목적 실현이 어려워짐. 질병 위험이 큰 사람만 가입한다면 보험재정이 파탄. 건강보험 운영이 불가능함. 2. 부담능력에 따른 보험료의 차등부담 보험료는 소득 수준, 재산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담..